본문 바로가기

HTML

마크업(Markup) / 마크업언어(markup language)

마크업(Markup)

- 본문 내용에서 사용자가 특별한 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모든 것

- 문서 처리를 지원하기 위한 문서에 추가되는 정보


 문서의 내용이 아니라 내용이 어떻게 배치되고 어떤 크기와 모양을 가지며 여백은 어느 정도인지를 표현하는 기술 



마크업 언어(Markup language)

- 문서의 구조를 정의하고 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

- 문서 안의 정보가 어떻게 구조화되었는가를 지정하는 언어

- 마크업 언어는 "마크(Mark)"로 둘러싸인 언어 (태그로 둘러싸였다고도 표현)

- 문서의 골격에 해당하는 부분을 작성하는데 사용

- 문서의 내용에 추가적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언어


 문서의 내용을 조직화하고 구조화 시켜, 문서를 읽는 사람 및 문서를 처리하는 응용 프로그램이 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

 우리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문서를 표현하는 내부 명령





아래 책(p.18~)을 참고하면 더 이해하기 쉽다

디자이너가 묻고 개발자가 답하는 웹 이야기(무료 ebook)

: 웹 디자이너가 마크업 가이드를 만들어 마크업 개발자에게 전달 => 마크업 개발자는 마크업 가이드에 따라 웹 페이지를 마크업



HTML (Hyper Text Markup Language)

- W3C에서 정한 태그만을 이용해야 되며, 문서 작성자가 임의로 태그를 만들어 사용할 수 없음

- HTML 문서가 보여지기 위해서는 이미 약속된 HTML 태그만으로 작성되어야 함


XML ( eXtensible Markup Languate)

- 확장 가능한 마크업 언어

- HTML은 이미 정의되어 있는 태그들만으로 문서를 작성하여야 하는 반면, XML은 사용자가 임의의 태그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함